타로에서 절제 카드는 자기 통제, 자제력, 절제, 인내, 균형, 조화, 창조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카드에는 천사가 두 개의 컵을 조절하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습니다. 이 두 개의 컵은 각각 물과 불을 상징하며, 이 물과 불을 조절함으로써 창조적인 힘을 발휘하는 천사의 모습은 인생에서 물과 불, 감정과 이성, 욕심과 절제 등 각기 다른 것들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며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을 상징합니다. 또한 절제카드는 우리가 이 과정을 통해 자아성장과 변화를 추구해야 함을 암시합니다.
절제와 중립은 비슷한 개념이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절제는 일종의 제한이나 자제를 의미합니다. 자신의 감정이나 욕구를 제한하고, 인내심을 가지고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며, 필요한 것만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중립은 어떠한 성향이나 편향이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중립적인 사람은 주관적인 견해나 감정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객관적으로 판단하며, 중립적인 행동을 취합니다. 따라서, 절제는 자신의 행동을 제한하고 자제하는 것이며, 중립은 어떤 성향이나 편향이 없는 객관적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우리는 보통 절제를 중립과 동일한 개념으로 생각하거나 욕망을 자제하는 매우 정적인 행위로 오해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절제는 매우 소극적으로 보이는 그 중립이라는 선을 지키기 위해 역설적이게도 부당한 것에 대한 수용 그리고 부당한 것을 거부하는 용기있는 행동을 요구합니다. 절제란 중간만 지키고 있는 소극적인 자세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용기를 가지고 앞으로 나아가기도 하고, 때로는 고통을 참으면서 뒤로 물러나기도 해야하는 적극적인 행위인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절제는 인간에게 '주체적으로 사유하기'를 요구합니다. 주체적으로 사유하는 사람은 자신의 욕구와 욕심을 깊이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신이 실제로 필요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할 수 있고, 자신의 욕구와 욕심을 억제하고 조절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철학적 방법으로 "마이우포시스"라는 것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그리스어로 "나 자신을 알라"라는 뜻입니다. 소크라테스는 인간이 자신의 무지를 깨닫고,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고, 이를 극복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소크라테스의 철학은 대화를 통해 진리를 찾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그는 상대방에게 질문을 던지면서 상대방이 자신의 생각과 믿음을 조명하도록 유도했습니다. 이러한 대화 과정에서 인간은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돌아보는 기회를 갖게 된다고 보았습니다. '주체적으로 사유하기'란 자신에게 다양한 질문을 던져보며 자신에게 솔직해 지는 과정이라고 생각됩니다.
여기 한 소년이 스핑크스라는 괴물 앞에서 수수께끼를 풀여야 합니다. “한때는 두발로 걷고, 한때는 세 발로 걷고, 한때는 네 발로 걷는데, 발이 많을 수록 더 약한 것이 무엇이냐?” 소년은 이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는 잠시 멈춰 생각해야 합니다.
늘 그렇듯 답은 가까이 있으나 지금까지와 다른 방식으로 사고해야 풀 수 있습니다. 스핑크스는 하늘과 땅에 존재하는 따뜻하고 아름답고 강한 것들의 이미지인 동시에 인간이 가장 바라는 것들을 한군데 모아 놓은 괴물입니다. 지금 소년은 괴물의 질문 앞에서 생각(가늠하거나 헤아리거나 판단), 사고(분석, 종합, 판단 등의 정신작용), 사유(문제 해결의 과정에서 그 결론에 이리기까지의 심리과정)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응해야 합니다. 절제카드는 내가 진정 무엇을 원하고 언제 행동해야 하는지 주체적으로 사유하는 존재인 ‘사람‘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또한 절제란 중심을 찾기 위해 멈추고 버려야 하는 것들에 관한 이야기 이기도 합니다.
절제와 중립은 비슷한 개념이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절제는 일종의 제한이나 자제를 의미합니다. 자신의 감정이나 욕구를 제한하고, 인내심을 가지고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며, 필요한 것만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중립은 어떠한 성향이나 편향이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중립적인 사람은 주관적인 견해나 감정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객관적으로 판단하며, 중립적인 행동을 취합니다. 따라서, 절제는 자신의 행동을 제한하고 자제하는 것이며, 중립은 어떤 성향이나 편향이 없는 객관적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우리는 보통 절제를 중립과 동일한 개념으로 생각하거나 욕망을 자제하는 매우 정적인 행위로 오해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절제는 매우 소극적으로 보이는 그 중립이라는 선을 지키기 위해 역설적이게도 부당한 것에 대한 수용 그리고 부당한 것을 거부하는 용기있는 행동을 요구합니다. 절제란 중간만 지키고 있는 소극적인 자세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용기를 가지고 앞으로 나아가기도 하고, 때로는 고통을 참으면서 뒤로 물러나기도 해야하는 적극적인 행위인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절제는 인간에게 '주체적으로 사유하기'를 요구합니다. 주체적으로 사유하는 사람은 자신의 욕구와 욕심을 깊이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신이 실제로 필요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할 수 있고, 자신의 욕구와 욕심을 억제하고 조절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철학적 방법으로 "마이우포시스"라는 것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그리스어로 "나 자신을 알라"라는 뜻입니다. 소크라테스는 인간이 자신의 무지를 깨닫고,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고, 이를 극복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소크라테스의 철학은 대화를 통해 진리를 찾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그는 상대방에게 질문을 던지면서 상대방이 자신의 생각과 믿음을 조명하도록 유도했습니다. 이러한 대화 과정에서 인간은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돌아보는 기회를 갖게 된다고 보았습니다. '주체적으로 사유하기'란 자신에게 다양한 질문을 던져보며 자신에게 솔직해 지는 과정이라고 생각됩니다.
여기 한 소년이 스핑크스라는 괴물 앞에서 수수께끼를 풀여야 합니다. “한때는 두발로 걷고, 한때는 세 발로 걷고, 한때는 네 발로 걷는데, 발이 많을 수록 더 약한 것이 무엇이냐?” 소년은 이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는 잠시 멈춰 생각해야 합니다.
늘 그렇듯 답은 가까이 있으나 지금까지와 다른 방식으로 사고해야 풀 수 있습니다. 스핑크스는 하늘과 땅에 존재하는 따뜻하고 아름답고 강한 것들의 이미지인 동시에 인간이 가장 바라는 것들을 한군데 모아 놓은 괴물입니다. 지금 소년은 괴물의 질문 앞에서 생각(가늠하거나 헤아리거나 판단), 사고(분석, 종합, 판단 등의 정신작용), 사유(문제 해결의 과정에서 그 결론에 이리기까지의 심리과정)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응해야 합니다. 절제카드는 내가 진정 무엇을 원하고 언제 행동해야 하는지 주체적으로 사유하는 존재인 ‘사람‘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또한 절제란 중심을 찾기 위해 멈추고 버려야 하는 것들에 관한 이야기 이기도 합니다.
'타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보성자 이야기 (0) | 2023.04.28 |
---|---|
<자아도취의 사슬>- 15번 악마 (0) | 2023.04.28 |
<나 답게 산다는 것에 대한 질문>- 12번 죽음 (0) | 2023.04.28 |
<견디고 버티는 힘>- 12번 매달린 남자 (0) | 2023.04.28 |
나의 선택이 답이 된다- 11정의 (0) | 2023.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