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타로심리2 <방어기제와 치유본능> 우리 안에는 스스로를 돌보고 치유하는 기능이있습니다. 프로이트는 정신의 구조를 자아, 원초아, 초자아로 설명하였습니다. 그중 원초아(쾌락의 원리)는 우리의 내면에 자리하고 있으며 우리의 정신세계를 본능적으로 보호하는데, 현신실적인 자아와 도덕적인 초자아에 의해 억압받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원초아가 자아와 초자아로 부터 벗어나 심리적인 불편감을 방출할 수 있도로 방어기제가 작동한다고 보았습니다. 이솝 우화에 나오는 "여우와 신포도"는 방어기제의 한 예라고 할 수 있지요. 여우는 자신이 못나서가 아니라 신포도는 질색이라고 자신을 합리화하며 불쾌감을 줄이려 노럭하는 것입니다. 물론 방어기제를 너무 자주 사용하여 쾌락을 추구하는 원초아의 원리만으론 제대로 삶을 살 수는 없습니다. 쾌락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 2023. 4. 28. 새로운 탄생 에서 니체는 '영혼의 세가지 변모'에 관한 이야기를 합니다. 첫번째가 낙타의 변모, 즉 어린아이와 소년의 변모입니다. 낙타는 무릎을 꿇고, "내게 짐을 실으라"고 합니다. 책임 있는 삶을 살기 위해 사회가 요구하는 교육과 수업을 받아야 하는 복종의 시절이 있는 법입니다. 짐이 실리면 낙타는 일어나 비틀거리며 광야로 나가는데, 낙타는 여기서 사자로 변모합니다. 등짐이 무거울 수록 사자는 그만큼 강해집니다. 사자가 해야 하는 일은 용을 죽이는일인데, 용의 이름은 '그대의 미래'입니다. 용의 비늘에는 하나도 빠짐없이 '그대의 미래'라는 글자가 씌여져 있습니다. 낙타 즉 아이는 '그대의 미래'에 사로잡혀 있는 반면, 사자 즉 청년은 이것을 벗어 던지기 때문에 깨달음에 이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용이 완전히 제압.. 2023. 4.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