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로이야기
<방어기제와 치유본능>
Peeling
2023. 4. 28. 22:12
우리 안에는 스스로를 돌보고 치유하는 기능이있습니다.
프로이트는 정신의 구조를 자아, 원초아, 초자아로 설명하였습니다.
그중 원초아(쾌락의 원리)는 우리의 내면에 자리하고 있으며 우리의 정신세계를 본능적으로 보호하는데, 현신실적인 자아와 도덕적인 초자아에 의해 억압받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원초아가 자아와 초자아로 부터 벗어나 심리적인 불편감을 방출할 수 있도로 방어기제가 작동한다고 보았습니다.
이솝 우화에 나오는 "여우와 신포도"는 방어기제의 한 예라고 할 수 있지요. 여우는 자신이 못나서가 아니라 신포도는 질색이라고 자신을 합리화하며 불쾌감을 줄이려 노럭하는 것입니다.
물론 방어기제를 너무 자주 사용하여 쾌락을 추구하는 원초아의 원리만으론 제대로 삶을 살 수는 없습니다.
쾌락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의 쾌감을 유지하고 불쾌감을 떨어내려고 노력하는 것이 스스로 치유하는 능력이 아닐까요?
우리는 많은 방어기제를 사용하여 최소한의 안정과 평정심을 유지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방어기제가 좋은 것인가? 나쁜 것인가?의 논쟁은 뒤로하고 방어기제는 우리 모두가 가지고 있는 최소한의 힐러 본능이라는 것입니다.
즉 내 안에 나를 치유하는 힘이 모두에게 공평하게 주어져 있다는 것이지요^^
타로심리 상담은 자신 안에 이미 가지고 있는 이 치유의 본능을 일깨워 주는 상담입니다.
우리 모두는 자신의 삶의 무게를 지고 살아가는 존재들입니다.
오늘 하루 타인에게 좀 더 친절한 우리가 되길 기도합니다.
프로이트는 정신의 구조를 자아, 원초아, 초자아로 설명하였습니다.
그중 원초아(쾌락의 원리)는 우리의 내면에 자리하고 있으며 우리의 정신세계를 본능적으로 보호하는데, 현신실적인 자아와 도덕적인 초자아에 의해 억압받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원초아가 자아와 초자아로 부터 벗어나 심리적인 불편감을 방출할 수 있도로 방어기제가 작동한다고 보았습니다.
이솝 우화에 나오는 "여우와 신포도"는 방어기제의 한 예라고 할 수 있지요. 여우는 자신이 못나서가 아니라 신포도는 질색이라고 자신을 합리화하며 불쾌감을 줄이려 노럭하는 것입니다.
물론 방어기제를 너무 자주 사용하여 쾌락을 추구하는 원초아의 원리만으론 제대로 삶을 살 수는 없습니다.
쾌락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의 쾌감을 유지하고 불쾌감을 떨어내려고 노력하는 것이 스스로 치유하는 능력이 아닐까요?
우리는 많은 방어기제를 사용하여 최소한의 안정과 평정심을 유지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방어기제가 좋은 것인가? 나쁜 것인가?의 논쟁은 뒤로하고 방어기제는 우리 모두가 가지고 있는 최소한의 힐러 본능이라는 것입니다.
즉 내 안에 나를 치유하는 힘이 모두에게 공평하게 주어져 있다는 것이지요^^
타로심리 상담은 자신 안에 이미 가지고 있는 이 치유의 본능을 일깨워 주는 상담입니다.
우리 모두는 자신의 삶의 무게를 지고 살아가는 존재들입니다.
오늘 하루 타인에게 좀 더 친절한 우리가 되길 기도합니다.